구 소련 붕괴 후 러시아는 현재 89개의 연방 구성체로 이루어진 연방 국가이다. 연방주체 내 상당수 지역에는 비러시아계 민족들을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공화국에는 연방으로부터의 분리 독립에 대한 제약이 있다. 러시아의 행정구역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8개의 연방관구
러시아를 나누는 가장 큰 행정단위는 연방관구이다. 푸틴 1기 행정부 시절인 2000년도에 신설되었다. 연방관구는 헌법에 명시된 행정단위는 아니며, 그 수장은 러시아 대통령이 임명한다. 연방관구에는 연방 대통령이 임명한 전권대표가 파견되어 각 연방주체의 활동을 감독하고 지역의 정보를 연방 대통령에게 보고한다. 현재 러시아에는 8개의 연방관구가 존재한다. 2000년 5월 13일에 전 국토를 7개로 나눈 연방관구를 설치했으며 2010년 1월 19일 남부 연방관구로부터 북캅카스 연방관구가 신설되었다. 2014년 3월 21일 크림 연방관구가 신설되었지만 2016년 7월 28일을 기해 남부 연방관구에 합병되면서 폐지되었다.
1. 극동 연방관구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황색지역의 극동 연방관구(러시아어: Дальневосто́ч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달네보스토치니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아무르주, 부랴트 공화국, 유대인 자치주, 자바이칼 변경주, 캄차카 변경주, 마가단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사하 공화국, 사할린주, 하바롭스크 변경주, 축치 자치구 등 11개의 연방 주체 있다. 러시아의 극동 구역을 관할하며, 본부는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블라디보스토크에 위치해 있다. 인구는 8백만명 정도이다. 2018년 11월을 기해 시베리아 연방관구에 속해 있던 부랴트 공화국, 자바이칼 지방이 극동 연방관구로 편입되었다. 2018년 12월에는 본부를 하바롭스크 지방의 하바롭스크에서 프리모르스키 지방의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전했다.
2. 시베리아 연방관구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청색지역의 시베리아 연방관구(러시아어: Сиби́р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시비르스키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알타이 공화국, 알타이 변경주, 이르쿠츠크주, 케메로보주,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노보시비르스크주, 옴스크주, 톰스크주, 투바 공화국, 하카스 공화국 등 10개의 연방주체가 있다. 러시아의 중앙에 위치하고 우랄 연방관구, 극동 연방관구를 접한다. 본부는 노보시비르스크주의 노보시비르스크에 있다. 인구는 약 17만명이다. 2018년 11월을 기해 시베리아 연방관구에 속해 있던 부랴트 공화국, 자바이칼 지방이 극동 연방관구로 편입되었다.
3. 우랄 연방관구 (Ураль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회황색지역의 우랄 연방관구(러시아어: Ура́ль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우랄스키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쿠르간주, 스베르들롭스크주, 튜멘주, 한티만시 자치구, 첼랴빈스크주, 야말로네네츠 자치구 등 6개의 연방주체가 있다. 러시아의 중심부인 시베리아 연방관구를 접한다. 본부는 스베르들롭스크주의 예카테린부르크에 있다. 인구는 약 12 만명 정도이다.
4. 북서 연방관구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유럽 북쪽의 청록색 지역으로 북서 연방관구(러시아어: Се́веро-За́пад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세베로자파 드니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아르한겔스크주, 볼로그다주, 칼리닌그라드주, 카렐리야 공화국, 코미 공화국, 레닌그라드주. 무르만스크주, 네네츠 자치구, 노브고로드주, 프스코프주,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11개의 연방주체가 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인접한 유럽 러시아의 북부를 관할하며 본부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다. 인구는 약 14백만 정도이다.
5. 볼가 연방관구 (Приволж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록색지역의 볼가 연방관구(러시아어: Приво́лж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프리볼즈스키 페데랄느이 오크루그)는 바시키르 공화국, 키로프주, 마리옐 공화국, 모르도바 공화국, 니즈니노브고로드주, 오렌부르크주, 펜자주, 페름 변경주, 사마라주, 사라토프주, 타타르스탄 공화국, 우드무르트 공화국, 울리야놉스크주, 추바시 공화국 등 12개 연방주체가 있다. 분쟁지역인 남부 연방관구를 접하고 유럽 러시아의 동부 볼가강 중류를 관할하며 본부는 니즈니노브고로드에 있다. 인구는3천 만명 정도이다. 이곳에 속한 지역은 옛날부터 타타르인들이 "이델-우랄(타타르어:Идел-Урал, 러시아어:Идель-Урал)"이라고 불렀다.
6. 중앙 연방관구 (Централь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노란색 지역의 중앙 연방관구(러시아어: Центра́ль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첸트랄니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벨고로드주, 브랸스크주, 블라디미르주, 보로네시주, 이바노보주, 칼루가주, 코스트로마주, 쿠르스크주, 리페츠크주, 모스크바, 모스크바주, 오룔주, 랴잔주, 스몰렌스크주 탐보프주, 트베리주, 툴라, 야로슬라블주 등 18개의 연방주체가 있다. 모스크바를 중심으로 유럽 러시아의 서부를 관할하며 본부는 러시아의 수도인 모스크바에 있다. 인구는약 38백만명 정도이다.이다. 러시아의 서쪽 끝에 있지만 정치적, 역사적 이유로 "중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7. 남부 연방관구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주황색 지역의 남부 연방관구(러시아어: Ю́ж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유즈니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아디게야 공화국, 아스트라한주, 칼미키야 공화국,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로스토프주, 볼고그라드주 그리고 분쟁 지역인 크림 공화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헤르손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세바스토폴, 자포로지예주 등 12개의 연방 주체로 구성되어 있다. 분쟁지역의 경우 우크라이나와 국제적으로 러시아의 영토로 인정되지 않는 곳도 있다. 우크라이나와 카자흐스탄, 아조프해, 흑해와 접한 지역을 관할한다. 인구는 약 16백만 명이다.
8. 북캅카스 연방관구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자주색 지역의 북캅카스 연방관구(러시아어: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세베로캅카스스키 페데랄니 오크루크)는 다게스탄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 북오세티야 공화국, 스타브로폴 변경주, 체첸 공화국 등 7개의 연방주체로 구성이 되어 있다. 2010년 1월 19일 남부 연방관구로부터 분리되었다. 아제르바이잔과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며 카스피해 연안에 위치한 북캅카스 지방을 관할한다. 본부는 스타브로폴 변경주의 퍄티고르스크에 있다. 인구는약 9백만명이다.
89개의 연방주체
러시아는 중앙 통제를 위한 비 헌법 기구인 8개의 연방관구 밑으로는 89개의 연방주체가 있다. 러시아 헌법 제65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방주체에는 24개의 공화국, 48개의 주, 9개의 지방, 3개 연방시, 4개 자치구, 1개 자치주가 존재하며 강제 병합 지역을 제외하면 83개다. 북한을 제외한 기타 국가들과 유엔에서는 2014년 편입한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연방시, 2022년 편입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헤르손주, 자포로지예주를 러시아령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푸틴 집권 이후에는 지방정부 수장 상당수를 임명제로 선출했으나 2012년 5월 간선제를 도입하여 10월에 선거를 치렀으나 현재도 일부 연방주체는 지명직으로 임명되고 있다.
공화국은 주요 소수 민족마다 존재하는 연방주체 각각의 헌법, 행정수반, 의회를 갖추고 있고 공화국마다 공용어를 가질 권한이 있지만 외교권은 없다.
자치주는 역시 민족 단위로 설정되는데 헌법을 제정할 권한은 없지만 그 외에는 공화국과 동일한 권한을 가진다. 현재는 중국과의 국경 인근에 유대인 자치주가 하나 있는데 2차 대전 중 만들어진 것이고 현재 전체 인구17만 명 중 유대인 인구는 약 1,600명밖에 거주하지 않는다. 그 외에도 자치구가 있는데 자치주보다 격이 낮아 헌법을 제정할 권한이나 공용어를 제정할 권한이 없다.
주는 소수민족이 거의 없는 지역에 설정되며 선거로 뽑힌 주지사와 의회를 갖추고 있다. 지방은 사실상 주와 같으며 전통적으로 지방이라 불리던 곳의 명칭을 바꾸지 않은 것이다.
연방관구의 장은 행정 관청의 장으로 행정 공무원으로 볼 수 있으나, 연방주체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과 같은 직위이다. 선거로 장을 선출하는 민선 방식을 채택할지,의회에서 선출할지는 각 연방주체의 의회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다. 의회에서 선출하는 경우 러시아 대통령이 후보자를 지명하면 의회가 찬반 투표로 그를 승인할지 말지 결정한다.
러시아 선거는 정당 소속으로 출마하는 것이 아니라 추천인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전국 규모 정당의 지역 부서 또는 각 선거구에 등록된 지방 규모 정당이 후보자를 추천해 출마하는 것으로 무소속 출마와 유사한 자기 추천 방식은 지역에 따라 허용하는 곳이 있고 허가하지 않는 곳이 있다. 자기 추천은 정치 단체가 아니라 자신 스스로가 선거 후보자로 추천한다는 것인데, 특정 정당에 소속된 자여도 자기 추천 후보자로 출마할 수 있다. 수장을 선거로 선출하는 연방주체에서 수장은 거의 전 지역이 통합 러시아의 추천을 받은 통합 러시아 소속이다. 자기 추천으로 출마한 후보자도 통합 러시아 소속이거나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지역 수장 대행을 한 적 있는 등 여권 인물이다. 또한 선출된 자기 추천 후보자와 타 정당 후보자들 대부분이 통합 러시아가 지지해 자체 후보를 내지 않았던 지역이거나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지명직을 했던 인물들이다. 사실상 전 지역을 범여권 정치인이 수장을 맡고 있다.
1. 공화국(22 - 24개)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러시아어 외에도 그 공화국에서 지정한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러시아의 공화국들은 의회와 헌법을 갖고 있다. 국제 사회에서는 러시아의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합병을 인정하지 않으며 우크라이나의 일부로 본다.
1.아디게야, 2. 알타이, 3. 바시코르토스탄, 4. 부랴티야, 5. 다게스탄, 6. 인구셰티야, 7. 카바르디노발카리야, 8. 칼미키야, 9.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10. 카렐리야, 11. 코미, 12. 마리옐, 13. 모르도비야, 14. 사하, 15. 북오세티야-알라니야, 16. 타타르스탄, 17. 투바, 18. 우드무르티야, 19. 하카시야, 20. 체첸, 21. 추바시야, 22. 크림, 도네츠크, 루간스크
2. 주(46개)
3. 변경주(지방 - 9)
러시아의 연방주체 중 변경주는 1. 알타이 변경주, 2. 캄차카 변경주, 3. 하바롭스크 변경주, 4. 크라스노다르 변경주, 5.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6. 페름 변경주, 7.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8. 스타브로폴 변경주, 9. 자바이칼 변경주 등 9개이다. 변경주는 주와는 다른, 러시아 중앙 정부에서 멀리 떨어진 변경 지방으로 간주되어 왔으나,현재는 주와 동격인 광역 행정구역이다. 러시아 정부는 최근 행정구역 통합을 추진, 2007년 캄차카주와 코랴크 자치구를 통합하여 캄차카 변경주가 신설되었고, 2008년 치타 주와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가 통합된 자바이칼 변경주가 추가되었다.
4. 자치주(1개)
러시아 헌법 제65조는 JAO가 러시아의 유일한 자치주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세계의 두 공식적인 유대인 관할권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이스라엘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의 헤이룽장성과 접하고 있는 극동에 위치한다. 행정중심은 비로비잔의 도시이다. JAO는 1928년 소련의 공식 법령에 의해 지정되었고, 1934년에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940년대 후반 이 지역의 유대인 인구는 인구의 약 25%인 46,000 ~ 50,000명 정도였으나 이후 유대인의 비중은 꾸준히 감소하였고, 2021년 러시아 인구조사에 따르면 JAO에는 837명의 유대인만이 남아 있다.
5. 자치구(4개)
4개의 자치구는 1. 추코트카 자치구, 2. 한티만시 자치구, 3. 네네츠 자치구, 4.야말로네네츠 자치구이다.
6. 연방시(3개)
1. 모스크바, 2. 상트페테르부르크, 3. 세바스토폴 가 있으며,국제 사회에서는 러시아의 크림 공화국과 세바스토폴 합병을 인정하지 않으며 우크라이나의 일부로 본다.
'경제.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회를 장악한 전과자들 (0) | 2025.02.27 |
---|---|
민주노총 장악을 시도한 북한의 조선노동당 (0) | 2025.02.23 |
윤 대통령 탄핵심판은 초 급행, 다른 탄핵심판은 완행 (0) | 2025.02.17 |
평행선을 달리는 윤 대통령 단핵심판과 이재명 2심 재판 (0) | 2025.02.15 |
이재명의 분신 김용 2심에서 징역 5년 법정구속 (0) | 2025.02.08 |